[구정질의 - 황미라]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 필요
기사 메일전송
[구정질의 - 황미라]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 필요
  • 기사등록 2024-09-19 21:53:02
기사수정

황미라(黃美蘿) 행정복지위원

무소속, 바선거구(삼산2동, 부개2·3동)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 필요건에 대하여

 "인천여성가족재단이 밝힌 인천시 청소년 실태조사에 따르면 학업을 중단한 학교 밖 청소년의 수가 매년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이들을 지원하는 꿈드림센터를 이용하는 청소년은 저조한 실정"임. 

 "2023 학교 밖 청소년 실태조사에 따르면, 꿈드림센터를 이용한 청소년 중 약 80%가 향후에도 이용할 의사가 있을 정도로 만족도가 높으나, 다수의 학교 밖 청소년들은 꿈드림센터에 대해 알지도 못하는 실정"임. 

 "이에 학교 밖 청소년들의 미래를 위해 꿈드림센터 이용률을 높이기 위한 대안에 대해 구청장님의 답변을 요청"드림.




[평생교육과 - 답변]

 구에서는 부평구 학교 밖 청소년지원센터를 2015년 부터 설치·운영하고 있으며, 2024년 8월 기준으로 총 180명의 학교 밖 청소년이 등록되어 센터를 이용하고 있음.

 

 ※ 학업중단 청소년 및 센터 등록 현황 (출처:시 여성가족재단, 시 교육청 및 부평구 꿈드림센터) (단위:명)

 

연도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인천시 학업중단 청소년 수

1,482

2,109

2,582

-

(9월 발표예정)

부평구 학업중단 청소년수

168

237

264

-

(9월 발표예정)

부평구 센터 등록

청소년수

201

*신규108,지속93

200

*신규78,지속122

144

*신규111,지속33

180(8월기준)

*신규130,지속50


 구 학교 밖 청소년지원센터는 학교 밖 청소년의 욕구 파악 및 사례관리를 위한 상담지원, 검정고시 등 학업지원, 자격취득을 위한 자립지원, 급식 및 교통비 지원의 복지지원 등 학교 밖 청소년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고 있음.


 특히, 2021년부터 인천 관내 8개 센터 중 유일하게 구 자체예산을 확보하여 학교 밖 청소년들에게 교통비를 지원하고 있으며, 


 2023년 여성가족부 공모사업인 ‘학교 밖 청소년 전용공간 조성사업’에 선정되어 청소년복합문화센터에 학습을 위한 멘토링실, 쉼과 놀이를 위한 멀티룸, 교육실 등을 조성하여 현재 검정고시 대비반, 영화평론 동아리 등 학교 밖 청소년들의 활동을 적극 지원하고 있음.


 한편, 초등학교, 중학교에서 정원 외 관리 처리된 청소년과 고등학교에서 자퇴, 제적·퇴학 처분 시 개인정보에 동의한 청소년의 경우 시스템을 통해 거주지 센터에 연계되어, 각 센터에서 전화 등 상담을 통해 학교 밖 청소년센터에 등록하여 프로그램을 이용하도록 지원하고 있음. 


 학교 밖 청소년지원센터에 연계되었으나 등록하지 않은 미등록 청소년에 대해서는 센터 프로그램 운영 시 문자로 안내하는 한편, 홈페이지, *아웃리치, 현수막 게첩, SNS 등을 통해 홍보함으로써 미등록 학교 밖 청소년들이 센터에 등록하여 각종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음.

 ※ 아웃리치란? 거리에서 청소년과 지역주민들을 만나 학교 밖 청소년지원센터의 프로그램과 서비스 등을 알리고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는 활동


 또한, 각종 청소년 행사 참여 시 홍보부스 운영, 센터 서비스 홍보, 법원 수강명령 대상 학교 밖 청소년 발굴을 통해 관내 학교 밖 청소년의 센터 이용률 제고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음.


 앞으로도 지속적인 홍보를 통해 미등록 학교 밖 청소년들이 센터에 등록하고, 다양한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사회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음.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4-09-19 21:53:02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무사고운전자 선발 공고
  •  기사 이미지 2025년 공익직불금 신청 안내
  •  기사 이미지 장애인 하이패스 감면단말기 무상보급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