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두연
의회 뱃지
인천 기초의회 의장단 선출 방식이 ‘교황식’(콘클라베)에서 후보 등록제로 개선되는 분위기다.
최근 동구의회는 장수진(더불어민주당·동구 나) 의원이 대표발의한 ‘동구의회 회의규칙 개정안’을 수정 가결했다.
해당 회의규칙 개정으로 앞으로 동구 의장·부의장직을 희망하는 의원은 의장단 선거일 2일 전에 후보 등록을 해야 한다.
후보자가 선거 당일 10분 이내의 정견 발표를 할 수 있는 내용도 규칙에 담겼다.
기존 동구의회 의장단 선출은 모든 의원이 후보자이자 투표자가 되는 콘클라베 방식으로 진행됐다.
콘클라베도 나름 민주적인 방식으로 꼽히지만 폐해가 적지 않다는 목소리가 많았다.
의장이 되기 위해 특정 의원을 포섭하거나 자리를 나눠먹는 등 ‘밀실 논의’와 ‘정치적 거래’가 횡행했기 때문이다.
장수진 의원은 "현 콘클라베 방식은 의회의 수장이 어떤 비전을 가졌는지에 대해 동료 의원도, 주민도 전혀 알 수 없다는 맹점이 있다"며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 주민의 알권리를 보장하기 위해서라도 의장단 선출은 후보자 등록제로 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실제 지난해 인천의 한 기초의회 후반기 의장 선거에서는 연임을 원하는 전반기 의장을 제치기 위해 특정 의원이 다른 정당 소속 의원에게 부의장이나 상임위원장 자리를 제시했다는 뒷말이 나왔다.
해당 기초의회는 현재까지도 전반기 의장 라인과 후반기 의장 라인끼리 수시로 ‘표 대결’을 펼치며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과거 유사한 갈등을 겪었던 다른 기초의회들은 콘클라베 방식을 주요 원인으로 진단하고 제도 개선을 해왔다.
최근 동구의회뿐 아니라 연수구의회(2023년), 계양구의회(2022년), 서구·남동구의회(2020년) 등이 속속 후보 등록제를 도입했다.
부평구의회와 미추홀구의회는 비교적 이른 2014년에 인천 최초로 후보 등록제를 시작했다.
여전히 콘클라베 방식을 유지하고 있는 곳은 중구의회와 강화·옹진군의회 3곳뿐이다.
인천지역 시민단체는 기초의회 의장단 선출의 투명성 강화를 위해 후보 등록제를 신속히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광호 인천평화복지연대 사무처장은 "이미 2012년께 당시 부평구에서 밀실 논의를 통해 이뤄지는 의장단 선출 방식을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며 "주민의 표를 받아 구성된 의회를 이끄는 의장이 어떤 비전을 갖고 있는지 등이 마땅히 공개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부평 =김두연기자
bpilbo032@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