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두연
2025 시민기자단 임명장 수여식 후 기념촬영
부평 지역 소식을 주민 스스로 전하는 ‘시민기자단’이 공식 활동을 시작했다. 부평일보와 헤럴드경인은 지난 26일 부평구청출입기자단 사무실에서 ‘2025 시민기자단 임명장 수여식’을 열고, 각 5명씩 총 10명의 시민기자를 임명했다.
시민기자단은 지난 5월 중순부터 한 달여 간 공개모집을 통해 구성됐다. 서류심사와 면접을 거쳐 지역 이해도와 취재 열의를 평가한 결과, 다양한 연령과 직업을 가진 시민 10명이 선발됐다. 이번 시민기자단 운영은 두 언론사가 처음으로 공동 추진하는 지역 밀착형 보도 실험이다.
고지섭 헤럴드경인 대표는 이날 행사에서 “지역사회에 대한 애정과 책임감을 가진 분들이 함께하게 되어 의미가 깊다”며 “시민기자들이 현장에서 직접 발로 뛰며 생생한 목소리를 전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정삼배 부평일보 대표는 “시민기자단이 지역 언론의 외연을 확장하고, 공동체 내 소통을 이끄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며 “실무 교육과 콘텐츠 제작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시민기자단은 주민 일상과 밀접한 이슈를 중심으로 기사를 작성하게 된다. 상점가 변화, 지역 행사, 미담 사례 등 긍정적인 소식뿐 아니라, 민원 현장, 교통 불편, 환경 문제 등 지역사회에서 제기되는 불편과 요구 사항도 취재 대상이다. 관공서나 기관 중심의 보도에서 벗어나, 생활 현장을 중심으로 한 ‘풀뿌리 저널리즘’ 실현을 목표로 한다.
시민기자로 임명된 이경숙 씨는 “평소 우리 동네 이야기를 기사로 다루는 사람이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며 “이제는 제가 직접 주민의 눈과 입이 되어 이야기를 전하겠다”고 말했다.
부평일보와 헤럴드경인은 시민기자단의 원활한 활동을 위해 월 1회 공동 편집회의와 기사작성 워크숍, 피드백 과정을 운영할 계획이다. 특히 영상 콘텐츠 제작 역량도 함께 키워나갈 수 있도록 전문 교육을 병행할 예정이다.
지역 언론계에서는 이번 시민기자단 운영이 중앙 중심 보도에서 벗어나 지역 내 정보 격차를 해소하고, 뉴스 다양성을 높이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한 지역 언론인은 “주민 참여 기반 보도가 정착되려면 단순한 취재 경험을 넘어 지속적인 교육과 윤리적 기준이 병행되어야 한다”며 “지역 언론이 공론장으로 기능하기 위한 구조적 뒷받침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풀뿌리 언론의 실험이 일회성에 그치지 않고, 지역 사회의 변화로 이어질 수 있을지 주목된다.
부평일보 = 김두연 기자
bpilbo032@naver.com